Issues

Search

Home > Issues > Search

국내 문화재의 뫼스바우어분광 적용: 연구동향과 제언

한국자기학회지, Volume 31, Number 4, 31 Aug 2021, Pages 157-171
문동혁 * (국립문화재연구소), 이은우 (국립문화재연구소), 윤지현 (국립문화재연구소), 엄영랑 (한국원자력연구원 하나로이용부), 김철성 (국민대학교 나노전자물리학과)
Abstract
국내 문화재를 대상으로 뫼스바우어분광을 적용한 사례는 울릉도 석간주, 흑요석, 고려청자, 흑색 토기의 함철광물조성, 발색인
자, 제작기법, 기원지 해석 연구 등이 있다. 이들 사례와 같이 뫼스바우어분광을 통하여 철을 함유한 문화재 및 원료물질에 대한
새롭고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추후 보다 더 다양한 유형의 고고시료 연구에 적용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토제유물(더 다양한 유형의 도토기, 기와, 옹관, 벽돌, 토우 등), 석조유물(어보, 장신구의 보석, 유리구슬 등), 철제유물 및 제철
유적 출토물(무기류, 농기구, 공구, 슬래그, 철광석 및 제철로 파편 등) 및 채색된 고대안료(벽화, 회화, 단청 등)}. 또한 휴대용 뫼스바우어분광기와 같은 개선된 분석 시스템의 도입은 지정된 보물 및 박물관에 전시 중인 문화재와 같이 비파괴 조사가 요구되
는 대상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수행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össbauer spectroscopy to Korean cultural properties, has been conducted for interpretation of ironcontaining mineral compositions, coloring factors, manufacturing technique, and provenance; such as Ulleungdo seokganju (natural red pigment), obsidian (Neolithic tool), Goryeo celadon, and black pottery. As reported, Mössbauer spectroscopic data provides newer and various information on the iron-containing cultural properties, further studies need to be applied to more various type of archaeological objects; such as earthen artifacts (additional ceramic wares by type and color, roof tiles, coffins, bricks and clay dolls), stone artifacts (royal seals, accessories in ornamental wares, glass beads), iron artifacts and objects (sword, tools, ore fragments, slags), and painted pigment (on the murals, painting, dancheong).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nnovative research will be possible for more diverse cultural properties, via the application of the improved analyzing system, such as portable Mössbauer spectrometer.
Keywords: 뫼스바우어분광학; 고고시료; 한국 문화재; 적용연구 제안; Mössbauer spectroscopy; archaeological object; Korean cultural properties; application proposal
DOI: https://doi.org/10.4283/JKMS.2021.31.4.157